말씀보기 신.구약 중간기 약사 보기 책과 영상 최창섭장로 게시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마태복음 23장

         
23장 위선자에 대한 책망 (막12:38-40. 눅 11:37-52, 20:45-47)

  1        
.

  2        
.

  3        
. . .

  4        
, .

  5        
( .) .

  6   7      
, , () () .

  8        
(, ) . , (). ( 3:1 , .)

  9        
. .

  10        
. .

  11        
.

  12        
, .

  13        
, . , .

  14        
( 14 . " , . , . .)

  15        
, . , , .

  16        
, . , . . ( . .)

  17        
, ? ? ?

  18        
, . ( , .)

  19        
, ? ? ?

  20   21      
, () . ( [ 30]. 5 33-37 )

  22        
, .

  23        
, . ( ) , ( ) () (, ) (믿, ) . (, , ) .

         
* 레위기의 십일조는 토지 소산, 즉 곡식과 열매 그리고 소와 양의 십일조였다. [레 27:30,32] 예수님 시대에 박하와 회향과 근채와 같은 허브가 십일조에 추가된 것은, 포로 귀환 이후 지배 계층의 가렴주구 때문이고 이로 인해 백성들의 삶은 피폐했을 것이다. 이런 시대적인 상황에서 예수님께서 지배 계층인 바리새인들과 언쟁을 하지 않으려고, 지혜롭게 율법의 본질인 정의와 긍휼과 믿음을 반드시 행하면서, 관습으로 해 오던 박하, 회향, 근채도 소홀히 하지 말라고 말한 것이다. 박하, 회향, 근채의 십일조를 당장 중단하라고 말했으면 그들이 돌을 들지 않았겠는가? 즉 이런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관습으로 해 오던 것이니 할 테면 하라고 에둘러 말한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말을 예수님도 십일조를 바치라고 말했다는 근거로 제시하는 목회자가 있다. 이런 해석은 본문의 대화 상대가 바리새인들이라는 것을 간과했고 예수님 전체의 가르침과도 어긋난다. 왜냐하면 예수님이 당신 자신을 율법의 완성자라고 했기 때문이다. [롬 10:4]
레위기 27:30에 근거해 십일조는 지켜야 하지만, 이 절을 근거로 예수님도 십일조를 바치라고 말했다는 것은 인본주의 사고 방식에 바탕을 둔 아전인수, 견강부회 해석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논리라면 예수님이 바리새인과 사두개인들을 '독사의 자식들' [마 3:7], 헤롯을 '여우' [눅 13:32], 베드로를 '사탄' [막 8:33] 이라고 했으니 예수님을 욕쟁이라고 해야 하지 않겠는가?

  24        
, .

  25        
, . , .

  26        
, . .

  27        
, . ( 2,3 ) , , .

  28        
, .

  29        
, . , .

  30        
, .

  31        
, .

  32        
.

  33        
, , ?

  34        
. (, ), (, ), (), () .

  35        
( [ 4:1-10]) , , . ('' : , . . [ 24: 20-22])

  36        
. . ( , , . . 40 .)

         
예루살렘아! (눅 13:34, 35)

  37        
, ! , . , ? .

  38        
, . [22:5]

  39        
. . , . ( , . 믿 . [ 11:23,16])
그림이그려지는복된말씀 홈페이지 Copyright 2024. 최창섭. All Rights Reserved. mst@drawbible.com